명상효과에 대한 싱잉볼 소리의 의미구조 분석
©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Abstract
The singing bowl, also called Tibetan meditation bowl, is a tool used for meditation. It produces a unique sound when rubbed that is believed to promote a state of mental calm. Currently, there is no research about how this type of sound actually affects people’s minds. This study was, therefore,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of the singing bowl and its commonly held beneficial effect, starting with an investigation into the subjective meaning of the singing bowl to users. An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better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 sound of the singing bowl using Korean adjectives, and the meaning structure was analyzed using a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s significant to users: a sense of calm, a sense of mystery, and a sense of reverence. These three factors appear vital to the meditative effect of listening to the singing bowl sound.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factor to the total effect. However, this novel study lay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deeper investigation.
Keywords:
Singing Bowl, Korean Vocabularies, Subjective Evaluation키워드:
싱잉볼, 한국어 어휘, 주관 평가1. 서 론
스탠딩벨(standing bell, 직립하는 종)은 앉은 종(resting bell)이라고도 하며 아랫부분은 지탱하는 부분이고 윗부분은 테두리로 되어 있는 형태이다(wikipedia). 이러한 종은 크기가 다양하며 명상과 종교 목적뿐만 아니라 음악 제작과 개인적인 놀이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싱잉볼(singing bowl, 명상 주발)은 스탠딩벨의 형태이며 명상을 위한 도구이다.
명상의 관점에서 이 벨은 티벳 명상 주발(Tibetan singing bowl)이라고도 하는데 ‘깊은 명상 상태로 유도하여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시키는 사운드 마사지 도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발을 막대로 문지르거나 두들기면 신비로운 공명과 강한 파동이 발생한다. 도구를 막대로 문지르거나 두드리면 신비로운 소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도구의 고유진동수에 의해 발생된다. 이 소리가 마음을 안정시키고 잡념을 떨치게 한다고 알려지는데 그 소리가 갖는 의미와 명상의 효과에 관한 상관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Goldsby(1)는 싱잉볼을 사용한 명상의 효과로서 싱잉볼 명상 전후 심리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상의 효과로서 분위기, 긴장감 및 심리적 평안함에 관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Humphries(2)는 그의 논문에서 티벨 명상 주발의 현대적 사용예로서 치유하는 소리의 다양한 사용방법을 다루고 있다. Landry(3)도 싱잉볼이 명상 수행에 미치는 심리적 및 물리적인 효과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나 혈압, 심장박동 등을 통한 직접적인 이완효과를 살펴보고 있다. 그 외 몇 가지 연구들은(4,5)싱잉볼이 갖는 물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싱잉볼 소리가 갖는 의미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싱잉볼 소리의 평가에 적합한 한국어 형용사를 찾아낸 후 청취시험을 통해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2. 실험계획
이 연구를 위해 싱잉볼 소리의 물리지수 측정과 주관반응 평가를 진행하였다. 물리지수 측정은 음압레벨을 비롯하여, 주파수 특성, 음질지수(sound quality index)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반응 평가는 한국어 형용사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싱잉볼 소리의 의미구조를 분석하였다.
3. 물리지수 측정
3.1 싱잉볼 소리의 재생 및 측정 환경
소리의 물리지수는 소리가 갖는 특성에 따라 측정 및 분석을 하게 된다. 싱잉볼 소리는 명상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값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싱잉볼 소리가 실내에서 들리게 될 때 소리의 기본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음질 특성을 나타내는 음질지수를 분석하였다. 여기에 추가로 음원의 주파수 특성을 단일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G(spectrum gravity center)값을 사용하였다.
싱잉볼은 재질과 형태, 크기가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싱잉볼은 웹상에서 제공된 영상 및 소리자료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싱잉볼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재질은 크리스탈이며, 도구를 사용하여 볼의 모서리 부분을 문지를 때 발생하는 3개의 서로 다른 높이의 소리를 선정하였다.
Fig. 1은 싱잉볼 소리의 측정실 및 측정 위치를 나타낸다. 측정은 광주 소재 S 대학교 본부동 강의실 601호에서 실시되었다. 강의실 내부 벽면은 콘크리트 위 페인트 마감이며, 바닥은 PVC 타일로 반사면이며, 천장은 흡음텍스로 구성되어 있다. Fig. 2및 Fig. 3은 각각 빈 강의실에서 측정한 시간별 음압레벨 및 잔향시간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간주파수 대역(250 Hz, 500 Hz, 1 kHz, 2 kHz)에서 평균 0.85초로 나타났다. 측정위치는 실내 균등하게 5곳을 선택하였으며, 각 위치에서의 값을 산술평균하였다. 측정기기는 smart noise monitor DUO(01 dB)를 사용하였으며, 라우드스피커를 통한 음원 재생시간 동안 측정을 실시하였다.
3.2 싱잉볼 소리의 주파수 특성
측정위치 5개소에서 측정한 값을 산술평균한 결과는 Fig. 4와 같다. 그림은 세 종류의 싱잉볼이 재생되는 동안 측정되었으며, 배경소음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Type 1 및 Type 2 음원은 315 Hz에서 각각 65.6 dB, 69.2 dB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Type 3 음원은 약간 높은 400 Hz에서 가장 높은 64.7 dB을 보이고 있다. 이는 Inácio 등의 연구(4)에서 측정된 2번 볼(무게 563 g, 지름152 mm)의고유진동수와 근접한특성으로 보인다. 등가소음레벨(Leq)로 비교하면 Type 2의 크기가 가장 크며, Type 1이 가장 작다.
Fig. 5는 G값1)을 비교한 것으로, 음원의 종류에 따른 주파수 중심값을 나타내며 3번 음원의 값이 1번, 2번 음원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주파수 성분이 Fig. 3에 나타난 공진주파수를 반영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3 음질지수(sound quality index)
음질지수는 음질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로서 소음과 같이 소리의 크기 위주로 평가하는 것과 달리 소리의 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지수이다. 음질지수는 자동차 및 기계의 소리를 평가할 뿐만 아니라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음에도 적용되어진다(8).
Table 2는 음원의 세 종류에 대한 음질지수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Loudness(9)는 Fig.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Type 2가 가장 크고, Type 1이 가장 작게 나타난다. Sharpness(10)는 소리의 날카로움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G값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ype 3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Type 2, Type 1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다.
음의 변동 강도를 나타내는 fluctuation strength (F. S)(11)값은 2번, 3번 음원에 비해 1번 음원이 매우 낮게 나타난다. Tonality 및 roughness(12)값은 음원에 따라 큰 차이는 없지만 반대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복합지수인 unbiased annoyance(U. A)(9)값은 F. S값과 유사한 순위를 나타내고 있다.
4. 어휘의 유형화 및 요인분석
4.1 개요
싱잉볼 소리의 의미구조 분석 방법으로 소리를 평가하는 한국어 형용사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정광용(7)이 발표한 소리 표현 형용사 361개를 기본형용사로 사용하였다. 정광용은 361개의 형용사를 사용하여 소음만을 대상으로 형용사의 개수를 축소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싱잉볼의 소리를 표현할 수 있는 형용사로 한정하여 개수를 축소하였다. 1차 설문조사 결과 361개의 형용사를 100개로 압축하였으며, 100개의 형용사는 다시 16개의 형용사로 축소되어 소리의 주관반응 평가에 사용되었다. Table 3은 설문조사에 관한 세부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설문조사에서는 공통적으로 청력에 이상이 없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원은 볼을 문지를 때 발생하는 서로 다른 세 종류의 싱잉볼의 소리를 사용하였다. 음원의 제시 방법은 컴퓨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스피커(loudspeaker, creative inspire 12)를 통해 재생시켰다. 1차, 2차 설문조사에서는 세 종류의 싱잉볼 소리를 설문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재생하였으며, 3차 설문조사에서는 각각의 종류에 대한 소리(각각 20초씩 교대로 재생)를 들으면서 명상을 진행한 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4.2 1차 설문조사 결과
사용된 361개의 형용사 중 빈도수가 높은 100개를 선정하였다. 선택된 형용사의 최대 빈도수는 32회, 최소 빈도수는 9회이다(Table 4참조).
4.3 2차 설문조사 결과
1차 조사를 통해 도출된 100개의 형용사를 사용하여 명상수련을 공부하는 보다 전문화된 그룹을 통해 2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Table 4에는 2차 조사결과 형용사의 선택된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1차 조사결과에서 선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형용사가 선택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이유는 1차 조사시 음원이 가지는 의미성보다는 소리 자체의 특성에 집중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4.4 3차 설문조사 결과
2차 조사를 통해 빈도수가 높은 상위 16개를 최종 형용사로 결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형용사를 사용하여 Table 5와 같이 5단계 리커트(likert) 척도를 구성하였으며, 싱잉볼 소리의 의미구조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형용사별 평균득점은 Table 6과 같이 나타났다. 울려퍼지다가 3.54로 가장 높은 득점을 보이며, 미묘하다, 고요하다, 경건하다, 은은하다, 잔잔하다, 그윽하다의 순으로 높은 득점을 보이고 있다.
4.5 요인분석을 통한 의미구조 분석
3차 조사를 통해 빈도수가 높은 상위 16개 형용사의요인구조를확인하였다.주성분분석방식과사각회전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KMO적합성 지수는 0.824였고 Bartlett 검증결과는 χ2= 1037.39, df= 120, p< .001 드러나 요인분석에 적합한 행렬임이 판명되었다. 고유치(eigen value) 1이상 요인이 3개로 드러나 3요인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1요인에는 ‘잔잔하다’, ‘차분하다’, ‘고요하다’, ‘은은하다’, ‘숙연하다’, ‘맑다’ ‘강렬하다’ ‘미묘하다’ 등이 묶였다. 그러나 강렬하다와 미묘하다는 요인2에도 높은 부하량을 보여 해석의 명확성을 위하여 요인1과 요인2 모두에서 제거하였다. 따라서 요인1은 ‘잔잔하다’, ‘차분하다’, ‘고요하다’, ‘은은하다’, ‘숙연하다’, ‘맑다’와 같은 문항들이 묶여 ‘차분함’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독특하다, 신비롭다, 심오하다, 울려퍼지다 등이 묶여 ‘신비로움’으로, 요인 3은 경건하다, 깊이있다. 그윽하다, 불안정하다(-) 등이 묶여 ‘경건함’으로 명명하였다.
요인분석의 결과 도출된 1요인의 ‘차분함’은 Goldsby(1)의 연구에서 명상의 효과로 나타난 긴장완화(tension) 및 심리적 평온함(well-being)과 관련된 요인과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신비로움’ 및 ‘경건함’의 요인도 명상의 효과 중 믿음(faith) 및 영성(spirituality)과 관련되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또한 Humphries(2)의 연구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싱잉볼의 기원이 종교적인 것으로부터 발생했다는 것과, 싱잉볼 소리가 치료와 영적인 목적이었다는 사실에 근접한 결과라 판단할 수 있다.
4.6 요인과 물리지수의 상관관계 분석
앞에서 세 요인으로 분류된 요인내 각 형용사의 득점값과 물리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8은 형용사 득점값과 물리지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1요인으로 분류된 ‘차분함’ 요인은 변동 강도(fluctuation strength)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2요인인 ‘신비로움’ 요인은 sharpness와 그리고 3요인인 ‘경건함’ 요인은 tonality 및 roughness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차분함’의 요인은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수와 ‘신비로움’과 관련된 요인은 공진주파수와 그리고 ‘경건함’의 요인은 소리의 음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 분석에도 불구하고 사용된 음원의 개수가 3개이며, 그에 따른 음의 물리지수값의 다양성이 부족하여 그 관계를 일반화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5. 결 론
이 연구는 싱잉볼의 소리에 대한 청취실험 및 형용사를 사용한 주관반응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싱잉볼 소리가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형용사 어휘는 싱잉볼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최종 16개로 축소되었으며, 리커트 척도를 구성하는 설문항목으로 사용되었다.
- (2) 싱잉볼 소리에 대한 평가결과를 요인분석 하였으며 세 가지의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요인은 차분함의 요인이었으며, 두 번째 요인은 신비로움, 세 번째 요인은 경건함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싱잉볼 소리를 들으면서 명상을 할 때 명상의 효과를 주는 것은 이들 세 가지 요인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3) 각 요인을 이루는 형용사 득점값과 물리지수값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높고 낮은 관계를 확인하였으나 단언적으로 관련성을 평가하기에는 음원의 사례수와 그에 따른 물리지수값의 다양성이 적은 것으로 사료되어 추후 연구에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7년도 송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물리지수 측정에 도움을 주신 동신대학교 신용규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 Goldsby, T. L., Goldsby, M. E., McWalters, M., and Mills, P. J., (2017), Effects of Singing Bowl Sound Meditation on Mood, Tension, and Well-being: An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Evidence-base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22(3), p401-406. [https://doi.org/10.1177/2156587216668109]
- Humphries, K., (2010), Healing Sound: Contemporary Methods for Tibetan Sing Bowls, Digital Commons at Loyola Marymount University and Loyola Law School, http://digitalcommons.lmu.edu/ulra/awards/2010/2.
- Landry, J. M., (2014),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a Himalayan Singing Bowl in Meditation Practice: A Quantitative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8(5), p306-309. [https://doi.org/10.4278/ajhp.121031-arb-528]
- Inácio, O., Henrique, L., and Antunes, J., (2003), The Physics of Tibetan Singing Bowls, Paper presented at TECNIACUSTICA 2003 (34th International Acoustics Congress an Acoustics), Bilbao, Spain.
- Wijesiriwardana, R., (2017), Resonance Frequency Variations of Metallic Tibetan Singing Bowl with Temperature, Paper presented at TECNIACUSTICA 2003 (34th International Acoustics Congress an Acoustics), Proceedings of 54th IASTEM International Conference, p19-25.
- Raimbault, M., Lavandier, C., and Bérengier, M., (2003), Ambient Sound Assessment of Urban Environments: Field Studies in Two French Cities, Applied Acoustics, 64(12), p1241-1256. [https://doi.org/10.1016/s0003-682x(03)00061-6]
- Jeong, K. Y., (2000), A Study on the Korean Vocabularies for the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Noise, Doctoral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 Park, H. K., and Jang, G. S., (2008), Feasibility of Alternative Physical Parameters by Subjective Evaluation for Urban Environmental Sounds, Journal of the KIEAE, 8(1), p31-36.
- Zwicker, E., and Fastl, H., (1990), Psychoacoustics: Facts and Models, Springer, New York.
- Bismarck, V., (1974), Sharpness as an Attribute of the Timbre of Steady State Sounds, Acustica, 30(159), p172-.
- Fastl, H., (1982), Fluctuation Strength and Temporal Masking Patterns of Amplitude-modulated Broadband Noise, Hearing Research, 8(1), p59-69. [https://doi.org/10.1016/0378-5955(82)90034-x]
- Terhardt, E., (1974), On the Perceptions of Periodic Sound Fluctuation (Roughness), Acustica, 30(4), p201-213.
- Lee, J. K., Chai, J. B., and Jang, H. K., (2005), Study on the Evaluation of Sound Quality of a Vehicle Interior Noise, Journal of KSNVE, 15(8), p945-953.
Jung Soon Moon received Ph.D. in Dept. of Psychology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10. S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Songwon University. Her research interests are the area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and she is devoted to the study of mindfulness.
Hyeon-Ku Park received Ph.D. in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from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in 2004.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Songwon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the area of subjective evaluation of building acou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