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Articl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Vol. 30, No. 5, pp.482-489
ISSN: 1598-2785 (Print) 2287-5476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0 Oct 2020
Received 28 Jul 2020 Revised 05 Sep 2020 Accepted 07 Sep 2020
DOI: https://doi.org/10.5050/KSNVE.2020.30.5.482

등가 대기 속도를 활용한 돌풍 하중에 따른 무인 항공기 고소작업대의 구조물 안전성 해석

류현기* ; 손동훈** ; 김준** ; 이동근*** ; 박경수
Structural Stability Analysis of Unmanned Aerial Vehicle on the Maintenance Lift According to the Gust Load Utilizing the Equivalent Airspeed
Hyeon-Gi Ryu* ; Dong-Hun Son** ; Joon Kim** ; Dong-Geun Lee*** ; Kyoung-Su Park
*Gachon University, College of Mechanical Engineering, Student
**LIG Nex1, Researcher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Researcher

Correspondence to: Member, Gachon University, College of Mechanical Engineering, Professor E-mail: pks6348@gc.gachon.ac.kr # A part of this paper is present at the KSNVE 2020 Annual Autumn Conference

‡ Recommended by Editor Cheol Ung Cheong




©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Abstract

Structural stability analysis of a high maintenance lift mount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like a scissor lift was carried out. The dynamic test of UAV requires the maintenance lift. However, while the dynamic test was being carried out, a gust load in the form of random wind force and normal wind force could affect the dynamics and stability of the maintenance lift. Moreover, the gust load can have a frequency effect (0 Hz ~5 Hz), and it can damage the safety of the maintenance lift and the UAV. Therefore, we constructed the symmetric four cables in order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the UAV test system by the rotating moments induced by the wind behavior.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we found that the yield strength of the steel cable with a diameter of 10 mm was sufficient to bear the rotating load considering the safety factor of 3, but the cabl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able and ground was adversely affected. Therefore, we additionally analyzed the rope tension and computed reaction forces at connection points to propose the optimal connection force with safety factor of 3.

Keywords:

Gust Load, Maintenance Lift, Equivalent Airspeed, Cable Reaction Force

키워드:

돌풍 하중, 고소작업대, 등가 대기 속도, 케이블 반력

1. 서 론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무인항공기에 활용이 높아지면서 무인항공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무인항공기 개발에 있어 동적 특성 검증(모달 해석 등)은 무인항공기 안전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제품으로 제작된 무인항공기를 고소작업대 등에 올려놓고 다양한 동적 특성을 검증 시험들을 수행하곤 하는데 이러한 동적 특성 검증은 수평 자세에 대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자세 조건에서도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장거리 탐사 무인기의 날개 크기가 10 m 정도로 커짐에 따라서 건물 내부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 되었다(1).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주변의 건물에 의한 바람의 영향이 없는 개활지에서 시험을 진행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기존에는 동특성 실험에서 고려된 적이 없었던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에 따른 무인기를 포함한 고소작업대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고, 이에 대한 분석 및 최적의 동특성 실험 시스템의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풍 하중 및 돌풍에 대한 연구는 구조물의 피로 수명과 승차감 향상을 위해 연구분야에서 수 년간 지속되어 왔다(2). 또한 항공기의 경우 운항중에 돌풍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전성 분석은 수행되었다. 이러한 돌풍 하중은 이산 돌풍 하중과, 연속 돌풍 하중이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 가해지는 단일 돌풍에 대해서 정의된 돌풍 하중은 미 연방 항공 규정 (FAR: federal aviation regulation)에 나와 있는 gust load factor로 계산한다(3~5).

기존엔 무인항공기의 동적 특성 실험은 실제 비행 중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돌풍의 영향을 간과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동적 실험이 개활지의 10 m 이상 높이의 고소작업대 시험 환경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실험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에 대한 안전성 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에 대해 무인기를 포함한 고소작업대의 안전성 분석을 수행한다. 첫 번째로, 20 m/s의 풍 하중에 대해 10 m 높이의 고소작업대는 회전 모멘트로 인해 안전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어 안전성 확보를 위해 4개의 케이블을 60° 간격으로 추가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시스템의 안전성 분석을 위해 풍 하중과 돌풍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항공기의 날개의 처짐 변화 및 처짐으로 인한 날개를 연결하는 핀에 작용하는 응력을 통한 안전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하중 조건에서 고소작업대의 응력 분석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한다. 두 번째로 지지 케이블의 지름이 5 mm, 10 mm의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케이블에 작용하는 하중 및 이를 안전 계수 3을 기준으로 안전성을 판단한다. 끝으로 이러한 안전 조건에서 케이블과 지지부에 작용하는 반력을 계산하여 케이블과 지지부의 구속 조건을 제안함으로써 무인기의 동특성 실험에 필요한 실험 고소작업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2. 전체 구조물 모델링

2.1 고소작업대 모델링

고소작업대는 지면에 수직 방향의 힘은 작업대의 형상에 의해 높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항공기와 같은 대형 물체를 들어올리는 작업대의 경우 상당한 중량을 고려하여 설계되기도 한다(6). 그러나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위에 작업대 크기 이상의 크고 무거운 작업물이 부착되는 경우 피칭 방향 또는 롤링 방향과 같은 회전 방향에 작용한 회전 모멘트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7).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고소작업대에 60° 간격으로 4개의 줄을 설치해 수평 방향으로 힘의 평형을 이루어 고소작업대의 회전을 억제하는 형태로 기본 설계를 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작업대의 중량은 약 5톤이며, 구동 높이는 10 m로 설정한다. 이 모델은 실제 고소 작업대 모델인 GENI사의 GS-3384RT 제품을 기반으로 제품의 특성을 단순화 시켰으며 또한 무인항공기 기체의 기울어짐 현상에서 발생하는 돌풍 효과를 보기 위해 Fig. 1과 같이 고소작업대 위에서 수평으로 장착된 경우와 60° 회전한 경우의 두 가지를 모델링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해당 모델링에서 고소작업대와 항공기의 접합부는 MI-53000회전 지지 마운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결합 부분이 60° 회전되어서 항공기가 회전된다.

Fig. 1

Maintenance and UAV

2.2 항공기 날개 모델링

항공기에 발생하는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의 경우 전체 동체와 주 날개(주익), 꼬리 날개(미익)에 작용하게 된다. 동체의 경우는 이러한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특히 날개의 길이가 10 m 정도로 긴 주익의 경우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주익과 미익의 분해 도는 Fig. 2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주익의 경우는 3부분으로 나누어 설계되었고, 각 부분은 2개의 핀 구조인 조립 연결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익의 경우 1가지의 연결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날개 모두 얇은 항공기 보호 덮개를 가지고 있다. 주익 간의 연결 부는 AL-7075-t6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강화 열처리된 SCM 440이 부착되어 있다. 주익과 동체, 미익과 동체의 연결 부에 대해서는 SK5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된 물성치의 재원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Fig. 2

Exploded view

Composite material properties

항공기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 뼈대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에 사용되는 적층 나무를 사용하였으며, 적층 나무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은 우레탄 폼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항공기 날개 덮개의 경우 1,458 MPa의 허용 응력을 가지는 특수 제작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항공기에 작용하는 돌풍 하중 및 풍 하중 계산을 위해서는 바람이 영향을 미치는 날개 하나의 면적은 주익의 경우 6.76 m2, 미익의 경우 1.9 m2로 계산되었다. 해당 수치는 SOLIDWORKS 2018.ver을 사용하여 바람 영향 면적을 사영 후 연산 된 값이다.

2.3 지지 케이블 모델링

앞서 언급한 회전 모멘트를 억제하는 4방향 케이블의 경우 와이어 로프 규격 KSD3514를 따르는 일반적인 도금 와이어 로프로 설정하였으며, 해당 로프의 파단 하중 기준인 breaking force는 식 (1)로 계산된다(8).

F=d2R0ζ1000(1) 

사용된 케이블의 경우 단층 와이어로 설정하였으며 식 (1)에서 사용된 d는 케이블의 직경이고 R0는 케이블의 강도이고, ζ는 케이블 단면 상수이다. 위 식 (1)에 사용된 상수는 Table 2에 정리하였다.

Computed parameter on Eq. 1

ANSYS 상에서 설계된 로프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와이어 지름 두 개(5 mm와 10 mm)에 대해서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두 와이어에 대한 breaking force는 식 (1)에 의해 각각 2.7 kN, 10.8 kN으로 계산되었다. 또한, 설계된 케이블의 model type은 ANSYS 상에서 케이블을 적용하였으며, 재질은 일반적인 stainless steel을 사용하였다. 케이블 재질에 대한 재원은 Table 3에 기재하였다.

Cable properties

케이블이 고소작업대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는 아래의 Fig. 3과 같이 지면과 60°를 이루게 형성되었다. 이는 고소작업대의 최대 회전 각도인 60°를 회전시켰을 때 케이블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케이블의 길이는 한 방향당 10.8 m이다.

Fig. 3

Fixed cable position and maintenance height


3. 하중 설계 및 해석

이 실험 고소작업대와 케이블에 대해 개활지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최대 풍속 20 m/s 및 돌풍 풍속은 국가에서 지정한 강풍 주의보 발령 기준인 14 m/s로 정의하였다(9).

3.1 돌풍 하중 이론

항공기 돌풍 하중 해석을 위해서는 양력 및 중량, 이에 의한 돌풍 하중 배수의 계산이 필요하다. 돌풍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항공기의 가장 중요한 수평 날개에 작용하는 돌풍 하중에 대해서 해석을 진행하며 수평 주익 및 미익에 대한 면적과 무게를 연산 영역으로 이용하였다. 날개에 적용되는 돌풍 하중은 서론에서 언급한 FAR에서 제시한 돌풍 하중 배수를 사용하였다. 돌풍이 불 때 날개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은 식 (2)와 같다(3).

Lw=W×n(2) 

날개에 작용하는 최종 돌풍 하중은 항공기의 중량과 돌풍 하중 배수의 곱으로 나타내어진다. 돌풍 하중 배수 n식 (3)로 계산된다(4,5).

n=1+12ρ0aKgUde2Mg/S(3) 

돌풍 완화 계수, 항공기 질량비는 각각 식 (4)(5)로 나타내어진다.

Kg=0.88μg5.3+μg(4) 
μg=2M/SρCa(5) 

여기서 사용된 전체 면적 S의 경우 주익, 미익 그리고 전체 body의 면적을 계산한 값으로 27.23 m2이다. 일반적인 무인기에 대해서 보기 위해 전체 날개의 무게로 나누어 계산된 돌풍 하중 배수와 날개 무게 관계를 연산하여 하중 배수-무게 선도는 Fig. 4와 같이 나타내었다. 또한 연산에 사용된 변수에 따른 수치는 Table 4에 기재되었다.

Fig. 4

Gust load factor & UAV weight graph

Computed parameter on gust load

Fig. 4에 의하면 항공기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돌풍 하중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며 그 값은 1에 수렴하는 형상을 나타나게 된다. 이는, 하중이 클수록 돌풍 하중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뜻이다. 또한, 돌풍이 가해지는 면적이 커질수록 돌풍 하중 배수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속의 돌풍은 0 Hz ~ 5 Hz 미만의 주파수를 발생시킨다(11). 이는 davenport spectrum이라고 불리며 주파수 별 크기가 다른 돌풍 하중의 효과를 나타낸다. 돌풍 하중은 실제로 0 Hz ~ 5 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0.01 Hz에서 가장 큰 에너지를 갖고 주파수가 커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특징을 갖는다.

3.2 돌풍 하중에 따른 정상상태 변위 해석

3.1절에서 계산된 해당 돌풍 하중의 값을 ANSYS 모달 해석과 조화 응답 해석을 통해 각 모드에 따른 최대 변위를 해석한다. 전체 모델의 모달 해석을 진행하여 5 Hz 이내에 Fig. 5와 같이 수평의 경우 작업 면에 수평으로 변하는 두 개의 모드 형상이 있고, 60° 회전의 경우 수평으로 변하는 세 개의 모드 형상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화살표는 고소작업대와 항공기의 모드 형상 벡터를 나타내었고, 직선으로 표현된 형상은 변하기 이전의 모델이다.

Fig. 5

mode shape of each case (0°, 60°)

돌풍 조화 응답 해석을 진행하기 위해서 0 Hz ~ 5 Hz로 나뉜 불규칙성 돌풍 하중을 입력으로 넣어주기 위해서 0.005 Hz 간격으로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진 돌풍 하중 크기를 넣어주었다.

다음으로 돌풍 하중에 따른 조화 응답 해석의 결과 수평 상태의 경우 1번 모드는 16 mm의 변위, 2번 모드는 1 mm의 변위를 일으켰고, 60° 회전한 상태의 경우 1번 모드는 27 mm의 변위, 2번 모드는 15 mm의 변위를, 3번 모드는 9 mm의 변위를 일으켰다. 해당 조화 응답 해석의 결과는 Fig. 6에 나타내었다. 해당 변위만큼의 경계조건을 추가함으로써 3.4절에서 진행되는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에 따른 구조물의 안정성을 해석을 통해 예측한다.

Fig. 6

Harmonic response of each case (0°, 60°)

3.3 풍속에 따른 풍 하중

돌풍 하중과 함께 작용하는 풍 하중은 항공기가 정지 시 바람에 의한 힘이며, 날개에 수직한 방향으로 풍압은 식 (6)에 의하여 계산된다(12).

P=12ρbv2(6) 

해당 풍속에 의한 풍압은 가장 위험한 상황이라 가정하였을 때(b= 1.35) 풍속에 따른 풍압으로 계산을 하였으며, Table 5에 나타내었다.

Computed wind pressure with wind velocity

P는 계산된 풍압이고, ρTable 4에 나와있는 공기 밀도이고, b는 풍속 계수이고, v는 풍속이다.

3.4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에 따른 안전성 해석

지금까지 바람에 의한 하중과, 예측하기 어려운 돌풍 하중을 일반적으로 계산이 가능한 하중으로 고려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전체 모델링에 대해 ANSYS static structural 해석에 적용한다. 전체 모델링의 mesh node 수와 element 수는 각각 수평 상태의 경우 588 013개, 269 856개, 60° 기울어진 상태의 경우 582 475개, 266 277개가 사용되었다. 0°의 상태와 60° 기울어진 경우로 나누어 일정 속도를 가진 풍 하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에서 돌풍 하중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으로 두 개의 하중이 더해져서 항공기의 날개 영역에 작용하는 경우를 검토하였다. 또한, 고소작업대의 밑판은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4방향 케이블 또한 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일반적인 풍 하중의 경우 풍속의 경우 0 m/s ~ 20 m/s의 풍속을 해석하였으며, 돌풍 하중의 경우 3.1절에서 언급한 14 m/s의 속도와 0 Hz ~ 5 Hz의 주파수를 같은 하중을 연산에 사용하였다. 우선 가장 풍속이 강한 상태(20 m/s)와 돌풍 하중이 항공기 날개에 작용하는 변위와 전체 응력 해석 결과는 Fig. 7에 나타내었다.

Fig. 7

Right: deformation, Left: stress analysis

Fig.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체 풍 하중 및 돌풍 하중에 의한 항공기 변위는 수평 상태(0°)의 경우 최대로 날개 끝에서 약 17 mm, 60° 기울어진 경우 약 31 mm로 미비한 수치를 보였으며, 이 때 발생한 응력은 항공기 날개 덮개에 가장 크게 발생하며 이 수치는 수평, 60° 기울기의 경우 각각 약 350 MPa, 760 MPa으로 Table 1에 나와 있는 yield stress의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 m/s의 풍속과 돌풍이 작용할 때 고소작업대 해석의 결과를 Fig. 8에 보는 것과 같이 아랫 부분에서 최대 약 3 MPa로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 고소작업대의 재질인 강철의 허용 응력(250 MPa) 범위 내에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고소작업대의 회전을 방지하는 케이블의 반력에 대해서 확인해 보았다. 우선 고소작업대 전체 변위와 케이블의 전체 변위 해석 결과 수평 상태(0°)의 경우 약 2 mm, 60° 기울어진 경우 약 0.3 mm 변하였다. 수평 상태의 경우 케이블 1과 케이블 3은 힘의 평형을 이루어 같은 반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고려되고, 미익에 작용하는 돌풍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여 케이블 4에 상당한 반력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60° 기울어진 경우 고소작업대의 해석 결과 케이블 3의 방향으로 상당한 변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반대 방향인 케이블 1에서 큰 장력이 발생하고, 반력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해석 결과는 Fig. 9에 나타내었으며, 0 m/s ~ 20 m/s의 일반적인 풍 하중이 작용할 때 및 14 m/s의 돌풍 하중에서 발생하는 케이블의 반력을 연산한 결과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Table 6에 사용된 케이블 1, 2, 3, 4는 Fig. 9에 표시되어 있는 번호이다.

Fig. 8

Stress of Maintenance

Fig. 9

Right: deformation, Left: stress analysis

Cable tension at each degree and wind velocity

Fig. 10에 정리된 케이블 장력은 수평 상태에서 가장 많은 반력이 형성되는 케이블 2번과 60 회전된 상태에서 가장 많은 반력이 형성되는 케이블 1번에 대하여 풍속이 증가할 때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Fig. 10

Maximum cable reaction force @each case

단락 2.3에서 식 (1)에 의해 계산된 breaking force를 고려해 볼 때, 5 mm의 지름을 가진 경우 2.7 kN을 초과하는 힘이 케이블에 작용하면 안되고, 10 mm의 지름을 가진 경우 10.8 kN의 힘을 초과하면 안된다. 또한, 수평 상태의 경우 보다 60 회전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1940 N 더 위협적인 것으로 계산되었다(@케이블 직경 10 mm, 풍속 20 m/s). Fig. 10에 나와있는 것처럼, 수평 상태의 경우 케이블 2에서 최대 인장력이 발생한다. 이는 미익의 영향으로 바람이 작용할 때 동체 후면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60 회전된 상태의 경우 케이블 1에서 최대 인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케이블 직경 5 mm의 경우 1272 N의 인장력이 발생하고, 이는 케이블 breaking force에 대하여 2.12의 안전율을 갖는다. 케이블 직경 10 mm의 경우 3212 N의 인장력이 발생, 이는 3.36의 안전율을 갖는다. 이 결과로 보아 케이블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케이블에 작용하는 장력도 증가하지만 안전율 또한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가 대기 속도를 활용한 고소작업대 위 항공기의 상황은 정확한 바람의 크기와 방향을 예측하기 어렵다. 즉, 불확실한 환경조건을 고려할 때 안전율 3 이상을 선정해야 하므로(13), 케이블의 직경은 3 이상의 안전율을 가지는 10 mm이상으로 선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지면과 케이블의 접합 부의 설계가 중요하다. 이 때, 직경 10 mm의 경우, 케이블과 고소작업대의 연결부 또는 케이블과 지면의 앵커 연결부 설계 시에 14 m/s의 돌풍이 작용하며 최대 20 m/s의 풍속이 부는 조건에서 수평 상태 최대 1272 N, 60° 기울어진 상태 3212 N을 견디게 설계되어야 한다.


4. 결 론

무인 항공기의 동적 특성 확인을 위한 고소작업대위 등가 대기 속도의 특징을 활용한 돌풍 하중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소작업대의 특성상 지표면에 수직 방향으로의 힘은 잘 견딜 수 있으나 지표면에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이 영향은 무인 항공기의 동적 특성을 시험하는데 충분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일반적인 풍 하중과 돌풍 하중에 의한 항공기에 걸리는 회전력은 실제 항공기가 선회 시에 발생하는 환경과 동일시 되며 이를 고소작업대가 버티기 위해 4개의 고정 줄이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실제 작용하는 돌풍 하중은 비행기의 전체 하중에 돌풍 하중 배수 n을 곱하여서 나타낸다. 이 연구를 통해 동적 시험 이전의 항공기와 고소작업대의 안전성을 검토할 수 있는 추가적인 지상 성능 시험의 구조물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앞으로 실제 동적 시험을 통해 실제 무인 항공기의 안전성을 판별할 예정이다.

기 호 설 명

a : 양력 계수의 기울기
b : 풍속 계수
C : 기하학적 평균 시위
d : 케이블 지름
g : 중력 가속도
Kg : 돌풍 완화 계수
Lw : 날개에 작용하는 하중
M : 항공기 질량
μg : 항공기 질량 비
n : 돌풍 하중 배수
P : 풍 압력
ρ0 : 해수면 기준 공기 밀도
ρ : 공기 밀도 (25°)
R0 : 케이블 인장 강도
S : 기준 면적
Ude : 돌풍 속도
ν : 풍 속도
W : 항공기 하중
ζ : 케이블 단면 상수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LIG 넥스원 사외 위탁 연구 과제 “무인기용 UVHF대역 통신 ES 장비 탑재체등가모델 구조해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 Yonhap News, 2019, S. Korea Brings in First Global Hawk unmanned aircraft, 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91223000102, (accessed 07.04.2020).
  • Lee S.-W., Kim T.-U, Kim S.-C., Hwang I.-H. and Ha C. K., 2005, Design and Ground Test of Gust Generator for GLA Wind Tunnel Test,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Autumn Conference, pp. 45~48
  • Regulations, F. A., 1991, Part 23, Airworthiness Standards: Normal, Utility, Acrobatic and Commuter Category Airplanes, Washington DCL Fa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Kim, S. J. and Lee, S. G., 2020, Structural Sizing for Optionally Piloted PAV Preliminary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viation and Aeronautics, Vol. 28, No. 1, pp. 83~89. [https://doi.org/10.12985/ksaa.2020.28.1.083]
  • Hoblit, F. M., 2000, Gust Loads on Aircraft: Concepts and Applications,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Reston, Virginia, USA.
  • Raghavendra, S. and Reddy, C. R., 2017, Design and Analysis of an Aerial Scissor Lift, Vol. 7, No. 7, pp. 13890~13903
  • IPAF, 2019, Do Not Attach Banners to Scissor Lift, https://www.ipaf.org/en/resource-library/do-not-attach-banners-scissor-lifts, (accessed 07.14.2020).
  • Feyrer, K., 2015, Wire Ropes Tension, Endurance, Reliability, 2nd Edition, Springer, Berlin, Germany. [https://doi.org/10.1007/978-3-642-54996-0]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Nalssinuri, The Standard of a Special Weather Report, https://www.weather.go.kr/weather/warning/standard.jsp, (accessed 07.30.2020).
  • Jumper, E. J., Schreck, S. J. and Dimmick, R. L., 1987, Lift-curve Characteristics for an Airfoil Pitching at Constant Rate. Journal of Aircraft, Vol. 24, No. 10, pp. 680~687. [https://doi.org/10.2514/3.45507]
  • Leontini, J. S., Jacono. D. L. and Thompson. M. C., 2015, Stability Analysis of the Elliptic, Cylinder Wake. Journal of Fluid Mechan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015, Vol. 763, pp. 302~321. [https://doi.org/10.1017/jfm.2014.671]
  • Spurk, J. H. and Aksel, N., 2020, Fluid Mechanics, Springer, Berlin, Germany. [https://doi.org/10.1007/978-3-030-30259-7]
  • Vidosic, J. P., 1957, Machine Design Projects, Ronald Press, New York, USA.

Kyoung-Su Park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76. He received the B.E. degree in electrical-mechanical engineering from the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0, and the master and Ph.D.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the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2 and 2006, respectively. In 2006, he joined the Samsung Electronics Corp. and he has worked for about three years. Since September 2008, he has been a research professor with the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the Yonsei university. And he has become an associate professor in mechanical engineering at Gachon university since 2014.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vibration and control issues for cable-driven parallel robot and for nano/micro environment. He has served as executive member for about 12 years in ASME-ISPS (Information Storage and Processing System) and he became a chair of ASME-ISPS division from July 2016 to August 2017.

Fig. 1

Fig. 1
Maintenance and UAV

Fig. 2

Fig. 2
Exploded view

Fig. 3

Fig. 3
Fixed cable position and maintenance height

Fig. 4

Fig. 4
Gust load factor & UAV weight graph

Fig. 5

Fig. 5
mode shape of each case (0°, 60°)

Fig. 6

Fig. 6
Harmonic response of each case (0°, 60°)

Fig. 7

Fig. 7
Right: deformation, Left: stress analysis

Fig. 8

Fig. 8
Stress of Maintenance

Fig. 9

Fig. 9
Right: deformation, Left: stress analysis

Fig. 10

Fig. 10
Maximum cable reaction force @each case

Table 1

Composite material properties

Components Density [kg/m3] Yield strength [MPa]
Skin 1816 1458
AL-7075 t6 2730 455
SCM 440 7850 675
SK5 8000 411

Table 2

Computed parameter on Eq. 1

Parameters Value
Diameter 5 mm, 10 mm
Rope grade 250 MPa
Wire rope cross sectional factor 0.432

Table 3

Cable properties

Material properties Value
Density 7850 kg/m3
Young’s modulus 200 GPa
Poisson’s ratio 0.3

Table 4

Computed parameter on gust load

Parameters Value
Ude 14 m/s
a(10) 0.109 rad/°
C 0.85 m
ρ0 1.2 kg/m3
ρ 1.19 kg/m3

Table 5

Computed wind pressure with wind velocity

Wind velocity [m/s] Wind pressure [Pa]
5 21
10 83
15 186
20 331

Table 6

Cable tension at each degree and wind velocity

Reaction force @0
0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48 630 48 436
Φ=10 mm 218 1,200 218 469
5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49 666 49 494
Φ=10 mm 224 1,231 224 584
10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54 692 54 536
Φ=10 mm 242 1,254 242 667
15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62 708 62 562
Φ=10 mm 272 1,267 272 716
20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74 713 74 570
Φ=10 mm 315 1,272 315 733
Reaction force @60
0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430 1 375 12
Φ=10 mm 1069 9 914 30
5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486 8 423 20
Φ=10 mm 1206 20 1031 46
10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648 30 564 45
Φ=10 mm 1606 29 1374 91
15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917 65 798 87
Φ=10 mm 2273 49 1944 166
20 m/s Cable #1 Cable #2 Cable #3 Cable #4
Φ=5 mm 1296 116 1128 146
Φ=10 mm 3212 148 2746 272